2021년 바우처 신청 기간이 되면서 우리 가구의 중위소득이 어디에 속하는지, 신청 기준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2020년 중위소득에 대해서 앞서 포스팅했는데, 2021년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됨에 따라 바뀐 내용을 포스팅할게요.
2020/11/18 - [육아/우리아이 언어치료 기록] - 우리아이 치료를 위한 바우처 소득기준(기준중위소득)
우리아이 치료를 위한 바우처 소득기준(기준중위소득)
바우처 신청 기간이 다가오면서 바우처 신청을 위한 자격이 되는 소득기준에 대해서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앞서 안내해 드린 것과 같이 발달재활서비스바우처의 경우 기준중위
elin-e.tistory.com
2021년 기준 중위소득
기준 중위소득이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20조의 제2항"에 따라 중앙생활보장위원회 심의. 의결을 거쳐 고시하는 국민 가구소득의 중위값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활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국민기초생활보장의 급여의 기준을 정하는 중요 지표입니다.
다음의 표는 각 세대의 가족 구성원별로 소득을 합산했을 때 100%가 되는 기준이며 세전 소득기준입니다.
(단위 : 원/월)
1인 가구는 4% 인상되어 1,827,831원 2인 가구는 3.2% 인상되어 3,088,079원 3인 가구는 2.9% 인상되어 3,983,950원 4인 가구는 2.7% 인상되어 4,876,290원 5인 가구는 2.3% 인상되어 5,757,373원 6인 가구는 1.9% 인상되어 6,628,603원이 되었습니다.
바우처 선정을 위한 중위소득 기준은 건강보험료 납입액을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2021년 건강보험료 소득판정기준표를 가져왔습니다.
2021년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노인 장기 요양 보험료를 제외한 금액)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월 건강보험료 납입액(원/원)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직장+지역) | ||
1인 | 3,290,000 | 113,568 | 107,552 | |
2인 | 5,559,000 | 191,093 | 200,980 | 194,212 |
3인 | 7,171,000 | 246,992 | 271,376 | 252,295 |
4인 | 8,777,000 | 308,297 | 341,915 | 321,769 |
5인 | 10,363,000 | 380,152 | 420,252 | 414,255 |
6인 | 11,931,000 | 414,255 | 456,308 | 449,388 |
2021년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노인 장기 요양보험료를 제외한 금액)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월 건강보험료 납입액(원/원)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직장+지역) | ||
1인 | 2,741,747 | |||
2인 | 4,632,119 | 159,583 | 160,445 | 161,571 |
3인 | 5,975,925 | 206,575 | 220,777 | 209,941 |
4인 | 7,314,435 | 252,295 | 277,765 | 257,849 |
5인 | 8,636,060 | 296,707 | 329,659 | 308,297 |
6인 | 9,942,905 | 354,781 | 393,994 | 380,152 |
2021년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 (노인 장기 요양보험료를 제외한 금액)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기준중위소득 140% 이하 월 건강보험료 납입액(원/원)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직장+지역) | ||
1인 | 2,559,000 | 88,303 | 56,856 | |
2인 | 4,323,000 | 150,077 | 147,721 | 151,860 |
3인 | 5,578,000 | 194,212 | 204,791 | 197,243 |
4인 | 6,827,000 | 237,681 | 259,446 | 242,008 |
5인 | 8,060,000 | 278,094 | 309,041 | 286,737 |
6인 | 9,280,000 | 321,769 | 356,168 | 337,302 |
2021년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노인 장기 요양보험료를 제외한 금액)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기준중위소득 120% 이하 월 건강보험료 납입액(원/원)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직장+지역) | ||
1인 | 2,193,000 | 75,224 | 30,663 | |
2인 | 3,706,000 | 128,342 | 117,560 | 129,761 |
3인 | 4,781,000 | 165,968 | 168,444 | 168,195 |
4인 | 5,852,000 | 203,558 | 216,474 | 206,575 |
5인 | 6,909,000 | 237,681 | 259,446 | 242,008 |
6인 | 7,954,000 | 278,094 | 309,041 | 286,737 |
맞벌이 가족의 건강보험료 산정
높은 건강보험료 100% + 낮은 건강보험료 50%
휴직자의 건강보험료 산정
- 휴직자(휴직 기간 1개월 이상 경과)
유급휴직자 : 최근 월분 급여액에 건강보험료 본인부담률(3.335%) 적용하여 산정
무급휴직자 : 소득이 없음으로 처리
- 휴직자(휴직기간 1개월 미만)
휴직 직전 월 건강보험료 반영
바우처 관련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2020/10/23 - [육아/우리아이 언어치료 기록] - 언어치료 바우처 신청 - 발달재활서비스
2020/10/26 - [육아/우리아이 언어치료 기록] - 언어치료 바우처 종류-아동청소년심리지원서비스, 영유아발달지원서비스
2020/10/27 - [육아/우리아이 언어치료 기록] - 언어치료 바우처신청을 위한 서류 준비
2020/10/29 - [육아/우리아이 언어치료 기록] - 언어치료를 위한 검사도구-영유아
2020/11/06 - [육아/우리아이 언어치료 기록] - 바우처 신청결과와 바우처 카드, 결제 방법 및 확인
'육아 > 우리아이 언어치료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어치료 시작 후 8개월 경과 (0) | 2021.03.20 |
---|---|
2021년 울산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바우처) 신규 모집 신청하세요. (0) | 2021.01.22 |
34개월 언어치료 - 정체기가 온듯해요. (1) | 2020.12.30 |
/우/와 /오/발음이 안될 때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0) | 2020.11.26 |
/ㄴ/ 발음 연습과 /ㄱ/발음 어휘 확장하기 (0) | 2020.11.21 |
댓글